마라톤 전투 이야기 | 페르시아 전쟁과 마라톤 경주의 기원 (ἡ ἐν Μαραθῶνι μάχη)


기원전 490년, 그리스 본토 아티카 지방의 마라톤 평원에 묵직한 긴장감이 드리웠다. 

수평선 너머로 수십 척의 거대한 전선이 줄지어 다가오고 있었다. 

아시아와 중동을 제패한 거대한 제국, 페르시아가 보낸 침략군이었다. 

다리우스 1세가 이끄는 페르시아는 이미 이오니아 반란을 진압한 뒤, 그 배후에서 반란을 도운 아테네와 에레트리아를 반드시 굴복시키겠다고 맹세했다. 

그렇게 해서 파견된 군대는 2만 명이 넘는 병력을 실은 대규모 원정대였다. 

그 배들은 마침내 마라톤 평원의 해안에 도착해 앵커를 내렸다.


아테네는 큰 위기에 직면했다. 

당시 인구만 해도 페르시아 제국 전체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작은 도시국가였고, 

보병 병력 역시 많아야 만여 명 수준에 불과했다. 

아테네의 장군들은 스파르타에 사절을 보내 지원을 요청했으나, 

스파르타는 신성한 축제 카르네이아 기간이라며 출병을 미뤘다. 

결국 아테네는 사실상 혼자서 이 거대한 적을 맞아야 했다. 

다만 소규모 도시국가 플라타이아이에서 천 명의 병사가 합류해 주었는데, 

이는 훗날 그들의 이름을 역사에 길이 남게 할 의로운 선택이었다.


아테네군의 장군단 중 가장 두각을 나타낸 인물이 바로 밀티아데스였다. 

그는 이전에 페르시아군과 접전을 경험한 적이 있었고, 적의 강점과 약점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페르시아군의 강점은 활과 기동력이었고, 약점은 상대를 근접 보병전에서 제압하기에는 취약하다는 점이었다. 

밀티아데스는 그 점을 이용하기로 했다. 

그는 아테네군을 전열에 배치할 때, 의도적으로 중앙을 약하게 하고 좌우 양익을 두껍게 배치했다. 

중앙은 적이 쉽게 밀고 들어올 수 있게 하되, 양익이 돌출되어 적을 포위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전투의 날, 아테네군은 페르시아군보다 훨씬 적은 숫자였지만 강한 결의를 품고 평원에 섰다. 

당시 기록에 따르면, 아테네 병사들은 방패와 창을 들고 약 1.5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적을 향해 달려갔다. 

페르시아군은 눈을 의심했다. 

수적으로 열세인 자들이 오히려 자신들을 향해 질주해 오는 모습은 예상 밖이었다. 

화살 세례가 쏟아졌지만, 아테네의 호플리테스들은 방패를 맞대고 달려들며 적의 진형을 파고들었다.


중앙에서는 페르시아군의 힘이 강했다. 

수적으로 밀린 아테네 중앙부대는 점점 후퇴하며 흔들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것은 밀티아데스가 계산한 움직임이었다. 

양익의 아테네 병사들은 적 중앙이 깊게 파고드는 순간 좌우에서 반격을 개시했다. 

페르시아군은 자신들이 아테네군을 밀어붙인다고 생각했지만, 사실상 포위망 속으로 들어오고 있었던 것이다.


좌익과 우익에서 밀려드는 아테네 창병들이 페르시아군의 옆구리를 찔렀고, 

곧이어 중앙도 다시 압박을 시작했다. 

전세는 순식간에 바뀌었다. 

방대한 페르시아군은 지형이 좁은 곳에서 우왕좌왕했고, 

뒤쪽의 병사들은 아직도 배에서 내려오지 못한 상태였다. 

전열이 무너진 페르시아군은 대규모 혼란에 빠졌고, 도망치는 자들이 속출했다.


이 전투에서 페르시아군은 최소 6천 명 이상을 잃었다고 기록된다. 

반면 아테네군의 전사자는 약 200명에 불과했다. 압도적인 대승이었다. 

페르시아의 전선을 따라 쓰러진 병사들의 시체가 널려 있었고, 

아테네 병사들은 피로와 승리의 감격 속에서 서로를 끌어안았다. 

작은 도시국가 아테네가 초강대국 페르시아를 꺾은 것이다.


그러나 승리 후에도 긴장은 끝나지 않았다. 

페르시아군의 일부 함대가 곧장 아테네로 향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만약 그들이 아테네 성문 앞에 먼저 도착한다면, 도시의 주민들은 항복을 고려할 수도 있었다. 

아테네 장군단은 즉시 전령을 아테네로 보내 승리 소식을 알려 시민들의 사기를 지키려 했다. 

이때 전해 내려오는 전설이 바로 페이디피데스의 달리기다.


페이디피데스는 마라톤 평원에서 아테네까지 약 40킬로미터 거리를 단숨에 달려갔다. 

그는 피투성이가 되어 성문에 도착하자마자 시민들에게 외쳤다. 

“Νενικήκαμεν! (네니카메넨! 우리가 이겼다!)” 그리고 그 자리에서 쓰러져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 

이 전설은 후대에 이어져 오늘날 마라톤 경주의 기원이 되었다.


아테네 시민들은 그의 말을 듣고 환호성을 질렀다. 

이어 곧장 군사들이 귀환해 도시를 방어할 태세를 갖추자, 

페르시아군은 더 이상 공격을 시도하지 않고 물러났다. 

이렇게 해서 마라톤 전투는 아테네의 완벽한 승리로 종결되었다.


이 승리의 의미는 단순한 전투 하나의 승리가 아니었다. 

그것은 아테네 시민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준 사건이었다. 

그들은 더 이상 초강대국 앞에서 무력한 약소국이 아니었다. 

작은 도시국가도 용기와 전략으로 거대한 제국을 꺾을 수 있다는 사실을 몸소 증명한 것이다.


이후 아테네는 민주정치를 더욱 발전시켰고, 페르시아 전쟁의 흐름을 바꾸며 결국 기원전 480년 살라미스 해전, 플라타이아이 전투 등에서 연이어 승리했다. 

만약 마라톤에서 패배했다면, 아테네의 민주주의는 싹조차 피우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승리 덕분에 아테네는 자신들의 체제를 지켜내고, 

후대 인류 문명에 큰 영향을 준 민주주의와 철학, 예술의 토대를 다질 수 있었다.


마라톤 평원에는 지금도 전투의 흔적을 기리는 기념비가 서 있다. 

그리고 매년 열리는 마라톤 경주는 단순한 스포츠가 아니라,

 역사의 그 순간을 기억하는 상징으로 이어지고 있다. 

2천5백 년 전, 

아테네의 병사들이 보여준 용기와 페이디피데스의 마지막 달리기는 지금도 사람들의 마음을 뛰게 한다.


마라톤 전투는 단순히 고대 전쟁의 한 장면이 아니다. 

그것은 “약자가 강자를 꺾을 수 있다”는 인간 역사 속 영원한 진리를 보여주는 사건이다. 

그리고 그날의 승리 소식이 아테네로 전해졌을 때, 

작지만 자유로운 도시국가는 세계사를 바꿀 새로운 길 위에 서 있었다.




In 490 BCE, tension spread across the plain of Marathon in the region of Attica, Greece. On the horizon, dozens of massive warships approached in formation. They carried the armies of the Persian Empire, the greatest power in the world at the time. King Darius I sought to punish Athens and Eretria for aiding the Ionian Revolt, and he dispatched an expedition of more than 20,000 troops across the Aegean Sea. The Persian fleet finally dropped anchor at the wide, flat beaches of Marathon.


For Athens, this was a crisis unlike any other. The city-state was small compared to the vast Persian Empire. Its army numbered around 10,000 hoplites at best, joined by about 1,000 soldiers from its ally, Plataea. They had requested aid from Sparta, but the Spartans refused immediate help, citing the religious festival of Karneia. Thus, Athens would have to stand almost entirely on its own.


Among the ten Athenian generals, Miltiades emerged as the decisive strategist. He had fought the Persians before and knew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The Persians excelled in archery and mobility, but they were vulnerable in close combat against heavily armed hoplites. Miltiades crafted a daring plan. He deliberately thinned the center of his army and strengthened the left and right flanks, intending to lure the Persians inward and then surround them.


On the day of battle, the Athenians formed up on the plain. Outnumbered at least two to one, they did something astonishing: they charged. From about a mile away, the hoplites ran at full speed, shields locked, spears lowered. The Persians, shocked at this audacity, unleashed a storm of arrows. But the Greeks pressed on, crashing into their lines with tremendous force.


At the center, the Persians pushed the Athenians back. It looked as if the Greek line would break. Yet this was part of Miltiades’ strategy. As the Persians surged forward, the stronger Athenian wings enveloped them from both sides. In moments, the Persian advance became a trap.


The flanks pressed inward, the center rallied, and the Persians suddenly found themselves encircled. Confusion spread through their ranks. With their rear blocked by marshes and their ships still unloading troops, panic erupted. Thousands were cut down or drowned as they tried to flee. Ancient sources claim that more than 6,000 Persians were killed, while Athens lost only about 200 men. It was a stunning victory.


But even in victory, the Athenians feared what might come next. A portion of the Persian fleet sailed immediately toward Athens, hoping to seize the undefended city. If the people lost faith, they might surrender. To prevent this, a runner was dispatched from Marathon to Athens with the news of victory. According to legend, the messenger was Pheidippides, who sprinted the nearly 40 kilometers back to the city, burst into the assembly, cried out “Nenikékamen! (We have won!)”, and then collapsed and died. His sacrifice would later inspire the modern marathon race.


When the Athenians heard the words of victory, they stood firm. Soon after, the army itself marched back from Marathon, ready to defend the city. Seeing Athens prepared, the Persians abandoned their plan and sailed home. The Battle of Marathon ended as a complete triumph for Athens.


Its meaning was far greater than the numbers on the battlefield. The victory gave Athens unshakable confidence. A small city-state had defeated the mightiest empire of its age. The Athenians proved that courage, discipline, and clever strategy could overcome overwhelming odds.


This confidence fueled the growth of democracy in Athens, as citizens who had fought side by side now felt empowered to share in their city’s future. It also marked the beginning of a new phase in the Greco-Persian Wars, paving the way for later victories at Salamis and Plataea. Without Marathon, the story of Greece—and perhaps of Western civilization—might have been very different.


Today, a memorial still stands on the Marathon plain, honoring those who fell. And every year, the marathon race recalls not just the endurance of a runner, but the endurance of a people who stood against an empire. The Battle of Marathon was not only a clash of armies; it was the moment when the free citizens of Athens proved that even the mightiest power could be resisted.


The legend of that day endures, carried not by the tides of empire but by the footsteps of those who dared to run, to fight, and to win.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