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겨울, 대학로의 한 소극장은 매서운 바람을 막아주는 작은 피난처 같았다.
두꺼운 외투를 벗어 걸어두고, 사람들은 작은 무대 앞에 모여 앉았다.
객석에는 40여 명 남짓, 하지만 공기 속에는 묘한 긴장과 설렘이 흘렀다.
무대 위에 오를 이는 바로 김광석, 이미 대학가와 젊은 세대 사이에서 전설처럼 회자되던 이름이었다.
그가 낡은 기타를 메고 무대 위로 걸어 나왔다.
스포트라이트는 밝지 않았지만, 그의 존재만으로도 무대는 충분히 빛났다.
관객들은 웅성임을 멈추고 숨을 고르듯 고요해졌다.
김광석은 짧게 눈을 감았다가, 이윽고 조심스레 기타 줄을 튕겼다.
그리고 첫 소절을 내뱉었다.
“또 하루, 멀어져 간다…”
순간, 객석은 얼어붙은 듯 정적에 휩싸였다.
그 목소리는 화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너무나도 진실해서, 듣는 이의 가슴을 단숨에 파고들었다.
그렇게 〈서른 즈음에〉의 첫 무대가 열렸다.
1990년대 초반의 한국은 격변의 시기였다.
민주화 운동의 열기가 막 끝나고, 사회는 빠르게 변하고 있었다.
경제는 성장했지만, 그만큼 불안정했고, 청년들은 늘 불확실한 미래를 안고 살아야 했다.
20대의 끝자락에 선 사람들에게 ‘서른’이라는 나이는 묘한 무게를 지녔다.
아직 어른이 다 된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청춘이라 부르기에도 애매한 나이.
취업은 쉽지 않았고, 연애는 미래를 보장해주지 않았으며, 세상은 점점 냉혹해졌다.
청춘은 늘 방황했고, 그 방황을 담아낼 목소리가 필요했다.
당시 가요계는 화려한 댄스 음악이 대세였다.
하지만 대학로 소극장, 카페, 캠퍼스에서는 다른 노래가 울려 퍼졌다.
포크 음악, 그리고 김광석의 노래였다.
그는 단순히 가수를 넘어, 시대의 대변자처럼 여겨졌다.
〈서른 즈음에〉는 사실 김광석의 자작곡이 아니다.
이 노래는 싱어송라이터 강승원이 서른을 앞둔 불안과 허무를 담아 쓴 작품이었다.
강승원은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서른이라는 나이는, 막연히 앞날이 보이지 않고, 뒤돌아보면 무엇을 이룬 것도 없는 듯한 공허한 나이입니다.
그 감정을 노래로 풀고 싶었죠.”
김광석이 처음 이 곡을 접했을 때, 그는 단번에 가사에 사로잡혔다.
“이건 내 얘기다.” 그는 속으로 그렇게 중얼거렸다고 한다.
김광석 역시 당시 20대 후반을 지나고 있었고, 곧 서른을 맞이할 나이에 서 있었다.
그에게도 ‘무언가 이룬 게 없는 듯한 허전함’은 남의 이야기가 아니었다.
녹음실에서의 장면은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묘하게 긴장감이 흘렀다.
김광석은 몇 번이고 노래를 불러보며 가사의 호흡을 자신에게 맞추었다.
그는 단순히 노래를 부르는 것이 아니라, 노래 속 화자와 하나가 되려는 과정을 거쳤다.
소극장의 첫 무대에서, 김광석의 목소리는 객석을 사로잡았다.
기타를 치는 손가락은 약간 떨렸지만, 노래가 이어질수록 그는 점점 몰입했다.
“지나간 것은 지나간 대로, 그런 의미가 있지…”
그 대목에서 누군가 훌쩍이는 소리가 들렸다.
이어서 여기저기서 눈물이 흐르는 기척이 났다.
노래가 끝나자 잠시 침묵이 이어졌다.
그리고 박수가 터져 나왔지만, 그것은 열광이라기보다 깊은 울림에 대한 감사의 박수였다.
무대 뒤로 돌아간 김광석은 조용히 중얼거렸다.
“이건 내가 부르기 위해 태어난 노래 같다.”
〈서른 즈음에〉는 음반에 실리며 세상으로 나왔다.
라디오 DJ들은 이 곡을 틀며 “오늘 하루가 힘들었던 분들에게 김광석의 노래가 위로가 되기를 바랍니다”라는 멘트를 붙였다.
거리의 카페에서는 기타 선율과 김광석의 목소리가 흘러나왔고, 대학가에서는 청년들이 기타를 치며 따라 불렀다.
이 노래는 단순히 히트곡이 아니라, 세대의 주제가가 되었다.
누구나 서른을 앞두고 두려워했고, 누구나 김광석의 목소리에서 위로를 얻었다.
1990년대 청춘의 초상은 곧 이 노래와 같았다.
김광석에게 이 노래는 특별한 의미였다.
그는 여러 인터뷰에서 “서른 즈음에를 부를 때마다 그 나이의 무게를 다시 느낀다”고 말했다.
그리고 나이가 들어갈수록 이 노래의 해석이 달라지는 것을 스스로도 경험했다고 한다.
동료 음악인들은 김광석이 이 노래를 대하는 태도를 이렇게 기억했다.
“광석이는 이 노래를 무대에서 부를 때면 항상 한 박자 늦게 호흡을 들이마셨습니다.
마치 가사를 삼키듯 곱씹고 나서야 내뱉는 것 같았어요.”
세월이 흘러 2020년대에 들어선 지금도, 〈서른 즈음에〉는 여전히 울려 퍼진다.
노래방 차트에서 꾸준히 불리는 곡이고, TV 드라마와 영화에서 시대를 상징하는 배경음악으로 사용된다.
유튜브에는 여전히 수많은 커버 영상이 올라오고, 젊은 세대는 김광석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음에도 이 노래에서 위로를 얻는다.
서른이라는 나이는 시대가 달라져도 여전히 청춘에게 큰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김광석의 목소리는 세대를 넘어, 여전히 “서른” 앞에 선 사람들에게 손을 내민다.
김광석은 짧은 생을 살다 갔지만, 그의 목소리는 지금도 살아 있다.
〈서른 즈음에〉는 단순한 노래가 아니라, 삶의 한 구간을 통과하는 의식(ritual) 같은 곡이 되었다.
누군가는 서른이 되어 이 노래를 처음 듣고 눈물을 흘린다.
또 누군가는 마흔이 넘어서 이 노래를 다시 들으며 청춘의 기억을 떠올린다.
세월은 흘러도, 이 노래는 늘 같은 울림을 준다.
그리고 오늘, 서른을 앞둔 또 다른 누군가가 이 노래를 듣고 있을 것이다.
그는 김광석의 목소리에서 위로를 얻고, 다시 하루를 살아갈 힘을 얻는다.
그렇기에 〈서른 즈음에〉는 영원히 살아 있는 노래다.
![]() |
In the winter of 1994, a small theater in Seoul’s Daehangno district was filled with a peculiar tension.
About forty people squeezed into the dimly lit hall, waiting for a man with a worn guitar to step onto the stage.
That man was Kim Kwang-seok, already a legendary name among Korea’s youth.
His songs were known not for glamour but for honesty, and when he appeared, the murmurs in the crowd faded into silence.
Kim closed his eyes for a moment, strummed his guitar, and sang softly:
“Another day passes away…”
The room froze.
His voice was not extravagant, but it was painfully real.
Thus began the very first performance of Around Thirty (Seoreun Jujeume), a song that would forever be remembered in Korea’s modern music history.
The early 1990s in Korea were a time of great transformation.
The country had just gone through democratization, and rapid economic growth was reshaping everyday life.
Yet for young people, the future felt uncertain.
To those standing at the edge of their twenties, the age of thirty carried a strange weight.
They weren’t quite “youth” anymore, but they also didn’t feel like full-grown adults.
Jobs were hard to find, relationships felt fragile, and society demanded maturity they were not yet ready for.
While the mainstream charts were dominated by flashy dance music and pop idols, in small cafés, on college campuses, and in tiny theaters, another sound was alive: folk music.
And at the heart of that scene was Kim Kwang-seok.
He was not just a singer; he was often described as the voice of a generation.
Interestingly, Around Thirty was not written by Kim himself.
The song was composed by fellow singer-songwriter Kang Seung-won, who tried to capture the emptiness of turning thirty in poetic lyrics and a simple melody.
“When you’re thirty,” Kang later explained, “you look back and feel like you’ve achieved so little, while the future ahead seems uncertain.
That feeling was what I wanted to put into the song.”
When Kim Kwang-seok first encountered the lyrics, he was struck.
“This is my story,” he thought.
Standing on the edge of his twenties, Kim knew the fear and emptiness that the words described.
He didn’t just sing the song; he became the narrator within it.
In the recording studio, witnesses recalled how he sang the lines repeatedly, adjusting his breathing and phrasing as if he were swallowing the words whole before releasing them. He was determined to live inside the song.
When Kim sang Around Thirty live for the first time in a small theater, the audience fell utterly silent.
His fingers trembled slightly on the guitar, but as the song unfolded, he grew more immersed.
“What has passed has its meaning, just as it is…”
At that moment, someone in the audience began to sob quietly. Soon, others were wiping away tears.
When the song ended, there was a long pause before applause broke out—not a roar of excitement, but a deep, grateful acknowledgment of something genuine.
Backstage, Kim was said to have murmured:
“This song feels like it was born for me to sing.”
Once recorded and released, the song began to spread.
Radio DJs introduced it with lines like, “For those who struggled today, may Kim Kwang-seok’s voice comfort you.”
In university cafés, students strummed guitars and sang along, while the song quietly became an anthem across college campuses.
It was more than just a hit.
Around Thirty became a generational hymn.
Anyone approaching thirty could relate to its words, and anyone listening could find solace in Kim’s raw sincerity.
It mirrored the very portrait of Korean youth in the 1990s.
For Kim, the song was deeply personal. In interviews, he admitted:
“Every time I sing Around Thirty, I feel the weight of that age again.”
As he grew older, he confessed that the song itself changed meaning.
What once felt like fear of the unknown turned into a bittersweet reflection of time lost.
His fellow musicians remembered how he performed it:
“Whenever he sang that song, he would inhale one beat later, as if swallowing the lyrics before letting them out.
It was never casual—it was always deliberate, like he was reliving it.”
Decades have passed, yet Around Thirty remains alive.
It is sung in karaoke rooms, played in TV dramas and films, and covered endlessly on YouTube.
Younger generations—who never even experienced Kim Kwang-seok’s era—still turn to his voice when approaching their own “around thirty.”
The age may have changed, but the feeling has not.
Turning thirty still carries the same mixture of fear, regret, and hope. And Kim’s voice continues to reach out across time, offering comfort to those standing at that threshold.
Kim Kwang-seok’s life ended too soon, but his voice has never left.
Around Thirty is not just a song—it has become almost a rite of passage for Koreans entering adulthood.
Some first hear it at the age of thirty and cry quietly to themselves.
Others return to it in their forties, recalling the anxieties and dreams of their youth.
Regardless of age, the song remains a mirror of our shared humanity.
Even now, someone standing on the edge of thirty is listening to Kim’s voice.
And through that voice, they find the strength to move forward.
That is why Around Thirty will forever remain one of the most beloved masterpieces in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jpg)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