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군도 고개를 숙인 사내 살라딘 이야기 (Salah ad-Din Yusuf ibn Ayyub)


 






1187년, 가을.

중동의 고요한 사막이 다시 숨을 죽인다.
수십 년간 십자군이 점령하고 있던 성지 예루살렘을 향해
한 인물이 조용히 다가서고 있었다.

그의 이름은 살라흐 앗 딘 유수프 이븐 아유브,
우리가 아는 이름으로는 살라딘.

“예루살렘은 칼이 아닌 정의로 돌아와야 한다.”

그는 단 한 번의 승리로 전쟁의 물줄기를 바꾸었고,
그것은 바로 하틴 전투였다.


하틴 전투, 그리고 길이 열린다

1187년 7월.
갈릴리 인근의 하틴 평원에서
살라딘은 십자군의 핵심 전력을 상대로 전면전을 벌인다.
예루살렘 왕국의 왕 기 드 루지냥,
전설적인 성전 기사단까지 총동원된 십자군은
살라딘의 전략 앞에서 속수무책이었다.

그는 적에게 물을 차단하고,
태양과 모래, 굶주림이라는 자연을 아군으로 삼았다.

결과는 참패.
십자군 왕은 포로가 되었고,
십자가의 전쟁 깃발은 모래바람에 묻혔다.

길은 열렸다.
성지 예루살렘은 더 이상 요새가 아니었다.


검이 아닌 자비로 - 예루살렘 입성

10월 2일.
살라딘은 드디어 예루살렘의 성문 앞에 선다.

과거 1099년, 십자군은 예루살렘을 점령하며
도시 안의 모든 이슬람교도와 유대인을 학살했다.
거리엔 피가 흐르고, 성전은 불탔다.

사람들은 두려움에 떨었다.
“살라딘도 보복할 것이다. 우리 모두 죽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결정을 내린다.

“이 도시는 신의 이름으로 지켜져야 한다.
피가 아니라, 기도로 씻어야 한다.”

살라딘은 약탈을 금지하고,
무슬림은 물론 기독교 신자들의 생명과 재산도 보호했다.
그는 인질을 받는 대신,
속죄금만 내면 누구든 도시를 떠날 수 있도록 허락했다.
속죄금을 낼 수 없는 자들에겐,
자신의 금화를 털어 대신 지불했다.

심지어 살라딘은,
십자군 기사였던 바리샤의 여동생에게
예의를 갖추며 직접 아이를 되찾아 주었다는 일화도 남아 있다.


신도 존경한 자, 적도 존경한 자

살라딘의 이러한 관용은
기독교 세계에서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십자군의 적장이었던 리처드 1세(사자심왕)조차
그를 “가장 고결한 이슬람의 군주”라 칭했을 정도였다.

이슬람의 영웅이면서,
동서양을 초월해 존경받은 지휘관.
그것이 살라딘이었다.



이 이야기는 실제 역사적 기록과 연대기를 바탕으로 각색된 서사입니다.
특히 예루살렘 탈환과 그 이후 살라딘의 관용적인 조치는
여러 사료와 역사서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중요한 장면입니다.
문학적 감정 표현과 대사는 상상력을 더해 구성되었으며,
더 깊이 있는 사실 확인을 원하신다면《십자군 연대기》 등 관련 문헌을 참고해 주세요.












Autumn, 1187.
The quiet deserts of the Middle East held their breath.
Toward the city of Jerusalem, long held by the Crusaders,
one man was calmly approaching.

His name: Salah ad-Din Yusuf ibn Ayyub,
known to the Western world simply as Saladin.

“Jerusalem must return not by the sword, but by justice.”

With a single, decisive victory, he turned the tide of an entire war
a victory known as the Battle of Hattin.


The Battle of Hattin - A Path Opens

In July 1187,
on the plains of Hattin near Galilee,
Saladin met the full might of the Crusader armies.
Among them: King Guy of Lusignan, and the feared Knights Templar.

But Saladin had more than soldiers.
He had the desert, the sun, and water
or rather, the lack of it.

He cut off the Crusaders’ access to water,
turning thirst and heat into his greatest allies.

The result was devastating.
The Crusaders were annihilated.
Their king was taken prisoner.
Their banners fell, swallowed by dust.

The road to Jerusalem now lay wide open.


Entering Jerusalem - With Mercy, Not Fire

October 2nd, 1187.
Saladin stood before the gates of Jerusalem.

The memory of 1099 still haunted the city
when Crusaders had taken the city and massacred its Muslim and Jewish inhabitants.
The streets ran with blood, holy places were desecrated.

Now, the people feared another bloodbath.

“Saladin will take revenge,” they whispered.
“No one will survive.”

But the man who came to the gates made a choice no one expected.

“This city must be cleansed not with blood, but with prayer.”

Saladin forbade looting,
protected the lives and property of Christians,
and allowed anyone to leave the city in peace
even offering to pay ransom himself for those too poor to afford it.

There’s even a story that he personally returned a lost child to the sister of a captured Crusader,
treating her with honor despite being his enemy.


A Man Respected by God - and by His Enemies

Saladin’s mercy left a lasting impression
even on those who once fought to destroy him.

Richard the Lionheart, leader of the Third Crusade,
famously called Saladin “a great prince, without equal among infidels.”

He was the hero of Islam
but also a legend in the eyes of Europe.



This story is based on historical records and chronicles,
particularly the capture of Jerusalem in 1187 and Saladin’s conduct afterward.
While the dialogue and emotional elements have been dramatized,
the events and actions are drawn from primary sources,
including Arab chronicles and Crusader accounts.

For deeper reading, consider works like The Chronicle of Ibn al-Athir,
The Life of Saladin by Baha ad-Din, or The Crusader Chronicles.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