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함은 본능이다 - 프랜시스 허치슨의 도덕 감각 이야기 (Francis Hutcheson)

 







“도덕 감각은 타고나는 걸까?”

- 어느 철학자의 고집스런 질문

1700년대 초, 스코틀랜드의 한 강의실.
하얀 분필가루가 날리는 칠판 앞에서
한 남자가 열정적으로 외치고 있었다.

“여러분, 인간은 이기적인 존재이기만 할까요?
아니요! 우리 안에는 선을 향한 ‘감각’이 있습니다!”

학생들은 잠시 조용해졌다.
누군가는 고개를 갸웃했고, 누군가는 미소를 지었다.

그가 바로 프랜시스 허치슨(Francis Hutcheson),
‘도덕 감각(Moral Sense)’ 이론의 아버지다.


철학을 싸움처럼 한 남자

허치슨은 옥스퍼드식 ‘냉정한 이성 철학’에 반기를 든 인물이었다.
그는 존 로크, 홉스처럼 "인간은 본질적으로 자기 이익만을 좇는다"는 생각에 거부감을 느꼈다.

“왜 인간은 누군가의 고통을 보면 같이 괴로워할까?”
“왜 자신에게 이득도 없는데 남을 도와줄까?”

허치슨은 그 해답을 인간의 '선천적 감각'에서 찾는다.

“눈으로 색을 보고, 귀로 소리를 듣듯
우리는 선함을 느끼는 ‘감각’을 타고났다.”

이 말은 당시로선 혁명적인 주장이었다.
도덕이 '이성의 계산'이 아니라 '마음의 반응'이라니!


아이들 교육에 철학을 심다

허치슨은 단순한 철학자가 아니었다.
그는 교육자이자, 사회개혁가였다.

그가 가르치던 글래스고 대학교에서는 수많은 학생들이 그의 영향을 받았고, 그 중 한 명은…
바로 애덤 스미스(Adam Smith).
『국부론』의 저자이자 경제학의 아버지였다.

스미스는 나중에 “허치슨 교수님은 제게 세상을 보는 눈을 열어주셨습니다”라며 깊은 존경을 표현했다.


인간의 자유, 노예제 폐지의 씨앗이 되다

허치슨은 또 하나의 급진적인 주장을 했다.

“노예제도는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
“어떤 이유로도 인간을 소유할 수 없다.”

이 발언은 18세기 초 유럽에서 상상조차 어려운 이야기였다.
하지만 그의 철학은 훗날 노예제 반대 운동과 인권 개념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고, 실제로 그의 사상은 미국 독립선언문과 프랑스 인권선언에도 영향을 미친다.


철학은 따뜻할 수 있다

많은 철학자들이 차가운 논리를 말할 때,
허치슨은 말보다 공감을 강조했다.

그는 믿었다.
"우리는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본성을 타고난 존재"라고.

그의 철학은 인간의 마음속 ‘따뜻한 이성’ 을 일깨우는 이야기였다.


이 글은 프랜시스 허치슨의 사상과 철학적 업적에 기반하여 구성되었습니다.
강의실에서의 실제 어록과 그가 남긴 저술을 바탕으로 일부 감정 묘사와 대사는 블로그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문학적으로 각색되었습니다.
더 깊은 탐구를 원하신다면 『도덕 감각에 관한 탐구』(Inquiry into the Original of Our Ideas of Beauty and Virtue)를 참고해 보세요.













"Is Moral Sense Innate?"

- A Philosopher’s Unyielding Question

Early 1700s, Scotland.
In a quiet lecture room, dust from a chalkboard filled the air as one man spoke with unwavering passion:

“Are humans purely selfish beings?
No! We are born with a sense of goodness!”

His name? Francis Hutcheson 
Father of the Moral Sense Theory.


The Man Who Fought with Philosophy

At a time when thinkers like Hobbes and Locke claimed that humans were driven only by self-interest,
Hutcheson stood his ground with a radical idea.

“Why do we feel sorrow when others suffer?”
“Why do we help strangers even when it gains us nothing?”

His answer?
Because we’re born with a moral sense 
Just like we see with eyes and hear with ears, we feel moral goodness with our hearts.

“The moral sense is not learned.
It’s something we’re born with.”


A Teacher Who Shaped Minds

Hutcheson wasn’t just a philosopher  he was an educator.

At the University of Glasgow, he inspired countless students with his warm, human-centered philosophy.
Among them? A bright young man named Adam Smith,
who would go on to write The Wealth of Nations and become the father of modern economics.

Smith later said,

“Professor Hutcheson taught me how to see the world differently.”


A Voice Against Slavery

In a time when slavery was accepted by much of Europe,
Hutcheson took a bold stand:

“Slavery is morally indefensible.
No man can own another.”

This was a revolutionary view in the 18th century.
Yet Hutcheson’s words would echo decades later in abolitionist movements and Enlightenment-era human rights declarations.

His ideas influenced the Americ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French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long after his death.


Philosophy with a Heart

While many philosophers leaned on cold logic,
Hutcheson emphasized something deeper empathy.

He believed that:

“Humans naturally love virtue and detest evil.”

His philosophy wasn’t about abstract theory.
It was about awakening the warm reason within us all.


This post is based on the real-life philosophy and writings of Francis Hutcheson.
Certain expressions, imagined dialogue, and emotional details have been adapted for narrative clarity and engagement.
For more in-depth study, consider reading Inquiry into the Original of Our Ideas of Beauty and Virtue by Hutcheson himself.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