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8년 여름, 지금의 프랑스 알자스 지방에 있는 스트라스부르라는 도시.
뜨거운 태양 아래, 한 여성이 갑자기 광장에서 춤을 추기 시작했습니다.
음악도, 축제도 없는 한낮이었는데 그녀는 미친 듯이 춤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처음에는 사람들은 흥미로운 구경거리 정도로 여겼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도 그녀는 쓰러지지 않았고, 밤이 되어도 계속 춤을 추었습니다.
다음 날, 두 명이 더 합류했습니다.
사흘 뒤에는 열 명, 보름이 지나자 400명 이상이 길거리에서 춤을 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놀라움과 공포에 휩싸였습니다.
이 기이한 사건은 훗날 “춤추는 역병”이라 불리게 됩니다.
16세기 유럽은 불안과 공포의 시대였습니다.
전염병, 기근, 전쟁이 끊이지 않았고, 사람들은 언제나 죽음과 맞닿아 있었습니다.
종교적 광신과 미신은 사람들의 일상 깊숙이 스며들어 있었죠.
이런 사회적 불안 속에서 벌어진 ‘춤의 대유행’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라, 시대의 어두운 그림자를 보여주는 사건이었습니다.
스트라스부르의 사람들은 춤을 멈출 수 없었습니다.
그들은 다리가 부러져도, 온몸이 피로에 절어도 계속 춤을 췄습니다.
어떤 이들은 심지어 심장마비로 쓰러지면서도 마지막까지 춤을 추었다고 전해집니다.
도시는 혼란에 빠졌습니다.
시 당국은 처음에 “춤이야말로 치료”라 생각해, 광장에 무대와 음악가를 불러 더 춤추게 했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끔찍했습니다.
춤추는 사람은 더 늘어났고, 병세는 심각해졌습니다.
원인은 무엇이었을까?
역사가들은 이 사건을 두고 다양한 가설을 세웠습니다.
집단 심리 현상(집단 히스테리)
– 사회적 불안이 극심했던 시기에,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집단 광란에 빠졌다는 해석.
맹독 곰팡이에 의한 환각
– 당시 빵에 섞여 있던 곰팡이(에르고트, LSD 성분 유사)가 환각과 경련을 일으켰다는 가설.
종교적 집단 체험
– 신의 저주 혹은 성인의 가호를 빌기 위한 일종의 ‘의식적 춤’이었다는 주장.
하지만 어느 것도 명확히 증명되지 않았습니다.
‘춤추는 역병’은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 있습니다.
이 사건은 단순히 기이한 역사적 해프닝이 아닙니다.
집단 심리, 사회적 불안, 신앙과 미신이 뒤엉킨 중세 유럽의 초상을 보여주는 사례이기 때문입니다.
지금의 우리에게도 시사점은 있습니다.
위기와 불안 속에서 인간은 합리적이지 못한 집단 행동에 빠질 수 있다는 사실이죠.
![]() |
In the summer of 1518, in the city of Strasbourg (then part of the Holy Roman Empire, today in France), an extraordinary scene unfolded.
On a hot afternoon, a woman suddenly began dancing in the marketplace.
There was no music, no festival, no celebration.
Yet she danced furiously, unable to stop.
Hours passed. The crowd that had gathered assumed she would soon collapse, but she continued through the night.
The next day, more people joined her.
Within a week, dozens were dancing.
Within a month, over 400 men and women were reported to be dancing in the streets, day and night.
What began as a curiosity soon became a terrifying epidemic—later known as the “Dancing Plague.”
The early 16th century was an age of constant fear.
Europe was plagued by famine, war, and disease.
Death was ever-present, and religion shaped daily life.
In such a world, superstition and mass hysteria often took root.
The outbreak in Strasbourg was not simply a bizarre accident.
It reflected the anxieties and collective desperation of an entire society on edge.
The afflicted could not stop dancing.
Their bodies shook violently, their feet bled, yet they continued to move.
Some collapsed from exhaustion.
Others died from strokes or heart attacks—literally dancing themselves to death.
City authorities were bewildered.
At first, they believed that more dancing might cure the victims.
They hired musicians and even built a stage in the city square, encouraging the dancers to continue.
But this only worsened the epidemic. More joined, and the frenzy spread.
Searching for Explanations
Historians and scientists have debated the cause of the Dancing Plague for centuries. Theories include:
Mass Hysteria
– A psychological outbreak triggered by extreme stress and fear, spreading unconsciously through the community.
Ergot Poisoning
– Bread made from rye infected with a fungus called ergot, which produces hallucinogenic compounds similar to LSD.
Religious Ritual or Curse
– Some believed it was divine punishment or a form of ritualistic penance, linked to the cult of St. Vitus, the patron saint of dancers.
Yet none of these theories fully explain why hundreds danced uncontrollably for weeks.
The true cause remains one of history’s strangest mysteries.
The Dancing Plague of 1518 is more than a medieval oddity.
It shows how collective fear, faith, and uncertainty can manifest in extraordinary and irrational ways.
Even today, sociologists study the event as a case of mass psychogenic illness—proof that under enough stress, humans can share not just beliefs, but physical symptoms and behaviors.
It reminds us that history is not always made by kings and generals. Sometimes, it is shaped by ordinary people caught in extraordinary circumstances—people who, for reasons still unknown, danced until they could dance no more.
.jpg)


댓글 쓰기